1. 신인 때는 소위 말해서 소재라는 걸 잡았다.

예를 들면 동물의 왕국에 아기 사람이 하나 떨어져서 벌어지는 일. (사자의 아이.)

정감이 가는 비리 공무원 (포졸진가수.)

싸이코 패스가 공무원이 된다면?(포졸이강진.)

이런 거다.

 

2. 소재가 목적이 되는 경우인데, 초반에는 잘 써진다. 하지만 상상력의 한계에 부딪쳐서, 3-4권 이후로 급격히 힘이 빠졌다.

일단 소재라는 것에만 집중해서 발생하는 문제.

 

3. 소위 글먹은 언제든지 가능하다라는 자신감을 얻은 이후.

소재로써 글을 써본 적이 없었다.

 

4. 그 이후 글을 시작하는 건 언제나 감정. 공감이었다.

이번에는 부성애를 쓰자. (아비무쌍.)

전우애. 동료애, 상급자와 하급자에 대한 관계묘사. (전쟁의 신.)

 

5. 그렇게 모든 글들이 즉흥적으로 시작되었다.

물론 저렇게 되기 전에 신인 때 잘 썼던 부분들. 인정받았던 부분은 자연탑재가 되었다는 조건이 필요했다.

내게는 그게 바로 어떠한 감정을 이용한 소설이었다.

 

6. 감성이라는 부분이 있다고 하는데.

막연하게 감성 이야기 하면 뭔가 싶은 경우가 있다

하지만 곰곰히 생각하면 감성이란 내가 살아온, 내가 생각해온 삶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 같다.

 

7. 내 기준에서는 대부분의 글들의 주인공은 소시오패스였다.

앞과 뒤가 없다. 주인공이 나아지는 부분만 집중적으로 보였다.

주인공의 행보에서 타인이 보이지 않는 것이다.

 

8. 있다!. 조연이 있지 않느냐!

라고 말할 수 있지만, 대부분은 엑스트라였다.

주인공을 돋보이게 할 수 있는. 또는 주인공이 레벨업에 필요한 조연.

 

9. 조연에게는 삶이 없는가?

이 질문은 참으로 쉽게 던지지만, 막상 고민해서 쓰기에는 쉽지 않다.

하지만 분명한 건 조연에게도, 하다못해 엑스트라에게도 그의 삶이 있다라는 부분을 인지하면.

최소 케릭터들이 평면적이라는 평가를 어느 정도는 피할 수가 있다.

 

10. 주인공에게 집중해야 하는 건 맞지만, 그 주변인들의 삶을 잘 표현할 수 있다면?

글은 더더욱 풍부해진다.

물론 독자들의 신경을 집중할 수 있도록 정말 잘 써야 하는 것도 사실이다.

 

11.다시 한 번 말하지만 쉽게 말하지만 적용하는 건 쉽지 않다.

모든 글쟁이가 내가 아는 만큼만 쓸 수 있으면 좋겠지만. 대부분은 내가 아는 것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

말을 하는 나도 내가 아는 것만큼 제대로 쓰고 있는가?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확신을 가지고 이야기를 하지 못한다.

 

12. 하지만 필요한 건 부정할 수 없다는 부분에 관해서는 확신을 가진다.

조연과 엑스트라에게도 삶이 있어야 한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말이다.

 

13. 저걸 집약하자면.

결국 소설은 사람 사는 이야기다.

내 선배분들도 종종 이야기 한 사실.

 

14. 단순하게보면.

소설은 사람사는 이야기.

이건 너무나도 당연한 이야기가 아니냔 말이다.

 

15. 그 당연한 사실을 나는 글쟁이 10년차에 진지하게 고민하기 시작했다.

당연해서 고민한 거다.

내가 보통 선후배분들에게 내가 생각하는 글쟁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 대부분 당연한 이야기인 것처럼.

이 부분도 마찬가지이다.

 

16. 조연과 엑스트라에게도 그들의 삶이 있다.

소설은 사람사는 이야기더라!

당연한 사실에 대한 고민.

 

-

출처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gijjdd&no=227822&search_head=30&page=1

'웹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 웹소설, 무조건 가지 마라  (0) 2020.03.14
웹소설 매니지 계약 관련 팁  (0) 2020.03.14
웹소설 문피아 무료연재 팁  (0) 2020.03.14
웹소설 조연 연출 팁  (0) 2020.03.14
웹소설 쓰는 과정  (0) 2020.03.14

 

1. 연재주기

 

여력있으면 주 7일, 없으면 주 5-6일.

주 5일하면 연독 무너지지 않을까 생각하기 쉬운데, 그런 글이면 주 7일해도 무너짐.

아니면 유료 가서 유료독자 확보가 안되던가.

오히려 주 5일 했는데 연독이 유지되면 유료각이 쎄게 보이는 거.

 

2. 추천수

 

추천이 차근차근 상승하는 게 가장 좋음.

이게 연독보다 중요하다고 봄.

연독이 유지되는 데 추천이 하락한다?

글이 독자가 생각하는 방향이랑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보면 됨.

연독이 상승하면 추천이 횡보한다?

뭔가 글에 임팩트를 줘야 될 시기라는 소리.

 

3. 선작수

 

선작 > 24시간 조회수.

이게 되면 느낌 쎄해지는 거임.

물론 이건 그리 높은 신뢰도를 지닌 게 아니기 때문에 무시해도 되긴 함.

 

4. 조회수

 

일반적인 경우 평균조회수 3만을 최대폭으로 보면 됨.

물론 5만이 넘어가는 글들도 있긴 하지만 그런 글들은 일반적이 아니기 때문에 무시.

24시간 조회수는 2만을 맥시멈으로 보고 접근.

이 이상 올라가면 사실상 업계에서 보는 대박수치라고 생각하면 됨.

 

24시간 조회수가 일만대에 들어서지 못했는데 조회수가 하락하거나 횡보하게 되면 글에 문제가 있다고 보면 됨.

 

5. 제목, 소개글

 

이건 작연은 사실 큰 의미없음.

작연은 일정 분량 모이면 한 번은 조회수 뻥튀기가 일어나는데.

그때 글이 좋고 나쁘고를 판단할 수 있음.

(좋으면 조회수 우상향, 나쁘면 조회수 하락 혹은 횡보)

하지만 일연이나 자연의 경우에는 입소문이 나지 않는 이상 제목이 안 좋으면 경쟁이 힘듬.

그러니 제목이나 소개글을 짓는 데 좀 힘을 쏟는 게 좋음.

(물론 이걸 무시하는 글들도 나옴.)

 

6. 유료각 기준.

 

이건 사실 답이 없음.

각자의 벌이에 대한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내 경우.

 

초기 : 연독, 추천수 무너지지 않고 꾸준히 우상향

중기 : 골베 10위권

말기 : 10-30화의 조회수 증가가 더 이상 없을 때, 혹은 위 조건을 모두 달성하고 50화에 근접했을 때.

 

가장 중요하게 보는 건 초기의 연독, 추천수 무너지는 것.

만약 이게 무너지면 연재 자체를 엎음.

말기에 가더라도 연독, 추천수가 현저히 무너진다면 유료를 안가는 걸 택함.

쓴게 아깝기는 해도 유료 간 이후에 써야 될 게 더 많기 때문에 굳이 시간낭비를 하고 싶진 않음.

 

7. 투베관련

 

내가 이 사이트를 들락이면서 한편으론 이해가 되면서도 이해가 안 되는 부분.

나도 쩌리시절에는 투베 하위권이라도 들고 싶어서 매일 확인했었고

아, 왜 못들지 이러면서 제목도 매일 바꾸고 필명도 자주 바꾸고 했었으니까.

하지만 경험이 쌓이고 나서는 굳이 필요없었다는 걸 알게 됐음.

그렇기에 이해가 되면서도 이해가 안 되는 행동이라고 표현함.

여튼, 경험이 쌓이고 얻은 답은 투베 50위권 밑으로는 큰 의미를 두지 말라는 것.

물론 기분도 좋고 100위, 90위, 80위가 있기 때문에 그 위로 올라갈 수 있다는 것도 맞지만.

가장 중요한 독자의 유입은 20위권 이내가 가장 유의미하게 나타남.

투베가 가지는 의미는 결국 새로운 독자의 유입인데, 이게 가장 큰폭, 그리고 빠르게 나타나는 구간이 20위권 이내, 10위권 이내라는 것.

50위권 밑으로 의미를 두지 말라는 건, 그 구간의 조회수는 고인물 독자들이 알아서 찾아 봄.

그런 사람들은 애초에 투베에 들지 않더라도 찾아서 봄.

그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 성실연재, 제목, 소개글 정도라고 보면 됨.

 

 

대충 내가 아는 문피아 팁? 뻘글이었음.

물론 이건 기본적으로 내 입장에서 작성되고 데이터를 냈기 때문에.

지망생분들의 기준에는 수치가 높을 수밖에 없음.

그러니 수치(유료조회수가 3-4천이니, 무료조회수가 3만이니 하는 것들)에 집중하지 말아줬으면 함.

 

마지막으로 재능이냐 노력이냐 라는 글들이 최근 많이 보이던데.

나도 예전에는 기성작가한테 글 말고 딴길 알아보라는 소릴 들어봐서 후자쪽에 좀 더 손을 들어줌.

뭐, 그래도 개개인마다 생각은 다른 법이니까.

딱히 뭐가 정답이다 이러고 싶지는 않음.

본인이 그렇게 생각한다는데, 그 생각을 굳이 내가 바꿀 필요는 없으니까.

 

-

출처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gijjdd&no=226416&search_head=30&page=1

'웹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소설 매니지 계약 관련 팁  (0) 2020.03.14
웹소설 팁 16가지  (0) 2020.03.14
웹소설 조연 연출 팁  (0) 2020.03.14
웹소설 쓰는 과정  (0) 2020.03.14
웹소설 대사에서 주의해야 할 점  (0) 2020.03.14

 

 

1. 설명만을 위해 설명하는 대사 피하기

특히 캐릭터끼리 서로 알고 있는 정보인데 이걸 독자한테 알려주기 위해서 이런 대사 쓰는 게 최악.

 

예 : 자네, 혹시 이제 약관의 나이에 무림 10대 초절정의 고수에 들었다는 [별호] [이름] 아닌가?

예 : 이것은 [마법, 기술 이름]? 이제 보니 실력을 감추고 있었군.

예 : 당신이 월급을 꼬박 모으고 할부금까지 보태선 산 이 캠핑카는 참 멋지고 마음에 들어.

 

명칭이나 기술에 과하게 멋을 부여하면 오타쿠스러워보이는 효과까지 생김.

 

그럼 정보전달을 굳이 해야하는데 그건 어떻게 해야하나?

 

갈등 넣는 방식을 보통 사용함. 위에 캠핑카 예시에서 부부가 서로 싸운다고 치면

"이 거지 같은 캠핑카? 월급 꼬박 모은 거에 할부금까지 보탠 게 고작 이거라고?"

 

이러면 정보전달도 되면서 자연스럽기도 하고 재미도 생기고.

 

 

2. 이름은 필요할 때만 부르기

아는 사람끼리 서로 실생활에서 이름 부를 일이 얼마 있냐? 보통 그런 상황은 정신차리라고 말해야하거나 그 사람의 주의를 환기시키거나 뭔가 갈등 상황이거나 그럴 때 정도일 거다. 근데 이렇게 쓰는 애들 있음. 판타지나 무협에서야 조금 다를 수도 있겠지만 하여튼 이름을 남발하면 대사에서 싼 티가 남.

 

예 : 그래, 지수. 듣자하니 예전에 헌터였다며?

예 : 그래도 철수 너 만큼은 아니지.

예 : 얼른 놈을 처리해! 김무쇠!

 

3. 꾸민 언어나 센 대사 남발하지 않고 쓰게 된다면 임팩트만 주고 빨리 끝내기

정확히는 캐릭터에 개성에 맞게끔 써야하는 건데 아무래도 작가 지망이다 보니 대사가 문어체처럼 추상적인 어휘로 많이 튀어나올 때가 있다. 특히 사람하고 대화 많이 못 해본 웹붕이들이 이런 대사를 많이 씀.

가령 '위협한다'라는 목적이 있으면 캐릭터에 따라서

1. "뒈지고 싶냐?"

2. "죽는다."

3. (칼 매만지며)"..."

뭐 대충 이런 식으로 나뉜다치자. 근데 대사 쓸 때 라노벨 영향 좀 받은 애들은 센 대사를 존나게 남발하고 추상적인 어휘를 많이 사용함. 심리학적으로도 독자는 유식한 캐릭터를 별로 안 좋아함. 물론 다른 매력이 있으면 ㅇㅋ고 예외는 어딜가나 있음. 드래곤 라자같은 소설도 보면 지식인 캐릭터 잘 묘사되어 있음.

근데 소설에 나오는 모든 캐릭터가 지식인처럼 말하면 그건 문제가 심각함. 캐릭터들이 죄다 중2병처럼 느껴지고 몰개성해지는 부작용이 생김.

뒤에 [ ] 표시는 걍 쉽게 표현하면 이렇게 된다는 거임.

 

예 : "후후, 목숨이 여벌이라도 되는 듯 굴고 있구나. 왜 회피하지 않는 거지? 너를 움직이는 동력이 궁금하군." [까불면 뒤진다? 근데 왜 깝치는 거냐?]

"행위의 동기를 굳이 떠올리고 언급하는 건 선호하지 않는 일이야." [말하기 싫은데?]

"그런데도 내게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는 것 같아 보인다만?" [구라 치네.]

"널 심판해야만 내 세계를 바로 정립할 수 있을 것 같더라고." [니 새끼 죽여야 내 기분이 풀릴 거 같아서.]

 

그럼 1,2,3을 다 사용해서 대사를 써보면 어떻게 될까?

 

"후후후, 철수. 목숨이 여벌이라도 되는 듯 굴고 있구나. 이미 신탁이 내려졌고 이 던전은 붕괴되고 말 것이다. 그런데 왜 다른 모험가들처럼 회피하지 않는 거지? 너를 움직이는 동력이 궁금하군."

"행위의 동기를 굳이 떠올리고 언급하는 건 선호하지 않는 일이야. 이 마왕아."

"그런데도 세계의 심판자이자 마신의 배우자인 내게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는 것 같아 보인다만? 그렇지 않나, 세계를 지키려 했지만 실패하고만 철수?"

"마왕. 널 심판해야만 오랫동안 용병일을 하며 감정이 마모된 나의 세계를 바로 정립할 수 있을 것 같더라고."

 

 

예를 든다고 좀 오바하긴 했는데 존나 역겹지? 이게 안 역하면 오염된 거다. 웹붕이들 감평해달라는 글 보면 대사만 봐도 대충 견적이 나옴. 솔까 재미만 있으면 되는 분야라지만 대사에서 풍기는 냄새 때문에 탈주하는 독자들 많으니까 요정도만 좀 신경쓰자고.

 

-

출처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gijjdd&no=238432&search_head=30&page=1

'웹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소설 조연 연출 팁  (0) 2020.03.14
웹소설 쓰는 과정  (0) 2020.03.14
초보 웹소설 작가가 빠지기 쉬운 함정  (0) 2020.03.14
웹소설 제목 아이디어 키워드 모음  (0) 2020.03.14
웹소설 계약 팁  (1) 2020.03.14

RE: The 현대에서 판타지 무림으로 기적의 용사 소환되어 종말에 멸망할 다크한 운명의 세상을 구하는 튜토리얼 시점에서 성녀에게 배신당해 차원이동한 마검 템빨의 사기적인 나노 소드 마스터였던 주인공이 대공작가의 귀공자가 기르는 드래곤으로 초인 전생하여 생존한 정령의 폰으로 신화급 지옥에서 마신의 성좌를 죽이고 회귀해 천마 지존의 초능력 무공을 계승받아 돌아온 마법 신공으로 영웅이 되어 특수 검술로 극한의 막장 차원 정복 후 21세기로 귀환해 전지적 초월자 치트로 재능 만랩 온라인 유일의 역대급 월드 클래스 먼치킨 랭커에게 빙의하여 나혼자 무한 레벨업 경험치 EX 포션 제작 스킬을 지닌 절대 무적의 고인물이 돼버렸는데 홀로 트럭에 치여 이계에서 깨어나 모험을 통해 불행한 F급 밑바닥 무능력 흙수저 낙오자인 일반인 천민 잡캐 뉴비부터 시작하여 SSS급 로열 마스터 헌터 서클의 막내가 되었으나 히든 퀘스트로 성스러운 던전 속 마왕의 9클래스 전사를 죽이고 이세계에 환생하여 5스타 스텟 MAX 마나 999999급의 힘을 숨겨 평범해 보이지만 알고 보니 사상 최강인 무신 가문의 망나니 낙제생의 몸으로 천재 재벌 대기업 왕족의 아이돌 소녀들을 제자로 받아 위대한 전설의 하렘을 차려 죽음의 언데드 폭군의 아빠가 되어 0살 딸 아기의 생활 종결 방송을 할거임.

 

-

출처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gijjdd&no=255717&search_head=30&page=1

'웹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소설 조연 연출 팁  (0) 2020.03.14
웹소설 쓰는 과정  (0) 2020.03.14
웹소설 대사에서 주의해야 할 점  (0) 2020.03.14
초보 웹소설 작가가 빠지기 쉬운 함정  (0) 2020.03.14
웹소설 계약 팁  (1) 2020.03.14

+ Recent posts